
개요데이터베이스 인터널스를 완독했다. 11장 복제와 일관성에 이어서 12장 안티-엔트로피와 배포까지는 정리를 해둔다.11장 돌아보기분산 시스템에서는 복제를 통해 가용성과 내결함성을 확보한다. 노드(서버)를 여러 개 복제해서 여러 요청을 바로바로 대응하고, 그 중 일부 노드가 잘못되어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CAP 이론에 따르면 분산 시스템은 일관성(C), 가용성(A), 분할 허용(P) 중 두 가지만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현실적으로는 CP 또는 AP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일관성 모델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를 다루며 선형화 가능성, 순차 일관성, 인과적 일관성 등으로 나뉘며, 각각 구현 난이도와 현실성에 차이가 있다. 세션 모델은 개별 사용자 관점에서의 일관성을 보장하며, 자신..

개요데이터베이스 인터널스를 읽고 있다. 11장을 읽다가 정리를 해두고 싶어 적어둔다.중요 용어 정리일관성 모델내결함성이중화장애 조치(failover)데이터 복제일관성 모델 (Consistency Model): 분산 시스템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언제, 어떤 값을 볼 수 있을지를 정해주는 규칙.내결함성 (Fault Tolerance): 시스템 일부가 고장 나더라도 전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중화 (Redundancy): 고장에 대비해 같은 구성요소를 여러 개 준비해두는 것.장애 조치 (Failover): 주 시스템이 실패했을 때 자동으로 예비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데이터 복제 (Data Replication): 데이터를 여러 위치에 동일하게 복사해두어 가용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CAP..

- Total
- Today
- Yesterday
- Gin
- websocket
- 인텔리제이
- 클린 아키텍처
- 티스토리챌린지
- solid
- notion
- agile
- 클린 애자일
- 독서후기
- bun
- 독서
- strange
- clean agile
- ChatGPT
- 영화
- Bug
- intellij
- 엉클 밥
- go
- gocore
- middleware
- OpenAI
- 잡학툰
- API
- golang
- Echo
- 오블완
- postgres
- backen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