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중국의 역사를 볼때에 항상 흐릿하게 넘어가는 시대가 있는데 오대십국 시대가 그중 하나이다(다른 하나는 위진이후의 남북조시대). GPT-5의 도움을 받아 다음과 같이 정리해둔다.당나라의 멸망 (907년)당 제국은 9세기 후반부터 급격히 쇠퇴하여 결국 907년 멸망에 이르렀다. 중앙 정부의 권위는 이미 8세기 안사의 난(755-763) 이후 크게 약화되었고, 각지의 절도사(節度使) 세력이 사실상 독립 상태로 성장했다. 설상가상으로 874-884년 황소의 난이 일어나 장안을 점령하면서 당 조정의 통제력은 완전히 무너지다시피 했다. 이 기간 황제는 유명무실한 존재로 전락했고, 환관과 군벌들이 정치를 좌우하는 혼란이 계속되었다.당 말기에 가장 세력을 떨친 군벌은 **주전충(朱全忠, 일명 주온)**과 이극용(李..

개요장강명 작가의 먼저 온 미래를 읽다가 체르멜로 정리 이야기가 나와서 정리해본다.체르멜로 정리체르멜로 정리란1913년, 에른스트 체르멜로(Ernst Zermelo)라는 독일 수학자가 증명한 게임이론 정리모든 정보가 공개되고, 운이 개입하지 않는 “완벽정보” 게임(바둑, 체스, 오목 등등)에서는 다음 중 하나가 성립한다.선수(흑)에게 필승 전략이 존재한다후수(백)에게 필승 전략이 존재한다양쪽 모두 최선을 다하면 무승부가 된다체르멜로 정리를 틱택토로 이해해보자틱택토는 양쪽이 최선을 다하면 반드시 무승부가 나온다. 체르멜로 정리의 세 번째 경우이다.틱택토가 무승부로 귀결되는 이유는 게임 트리를 모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가능한 수순을 컴퓨터로 계산해보면, 완벽한 플레이 하에서는 어느 쪽도 이길 수..

개요페친분의 글에서 “모라벡의 역설”이라는 표현을 듣고 챗GPT에 물어봄.들어는 보았던 개념인데 정식 명칭이 모라벡의 역설이었구나.모라벡의 역설(Moravec’s Paradox)모라벡의 역설(Moravec’s Paradox)은 인공지능 연구 초기부터 관찰된 현상으로, “사람에게는 쉬운 일이 기계에는 매우 어렵고, 사람에게는 어려운 일은 기계가 의외로 쉽게 해낸다”는 것을 말한다.명칭 유래1980년대 후반 스탠퍼드대의 로봇공학자 한스 모라벡(Hans Moravec)과 매사추세츠공대의 로드니 브룩스(Rodney Brooks), 마빈 민스키(Marvin Minsky) 등에 의해 제기되었다.핵심 내용고차원적 추론·계산 작업은 컴퓨터가 잘한다.논리 퍼즐을 풀거나 수학 문제를 계산하는 등 상징적·추상적 추론은 전통..

"If you can't explain it simply, you don't understand it well enough."(간단히 설명할 수 없다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큐레이터와 도슨트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유튜브를 보는데 둘 다 알고 있는 직업이지만 정확히 설명을 할 수 없는 나 자신을 확인하고 재빠르게 ChatGPT에게 물어보았다. 챗지피티의 응답은 다음과 같다. ✅ 큐레이터 (Curator) 전시 기획자, 연구자 • 무엇을 전시할지 기획하고, 전시의 주제, 방향, 구성을 정함 • 작품이나 유물에 대한 연구와 수집, 보존, 관리를 담당 • 전시 도록(책자)이나 설명 문구도 큐레이터가 직접 쓰는 경우가 많아 • 보통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직원으로 소속되어 있음 ➡️ 쉽게 말해, 전시의 전..

개요함수 정보, 각종 아이콘 툴팁이 언제부턴가 동작하지 않았다.설정에서 Editor - Code Editing - Quick Documentation - Show quick documentation on hover 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었는데 이게 설정을 할 수 없었다.원인원인은 장애인을 위한 기능에서 Support screen readers 가 언제부턴가 켜져 있어서였다.진짜 원인그런데 Support screen readers 옵션을 제거하고 Apply, Ok 후 IntelliJ 를 재시작 했음에도 저 설정이 계속 켜져 있었다.원인은 Amazon Q 플러그인의 충돌 때문이었다. 잘 사용하지 않는 해당 플러그인을 삭제하고 다시 설정하니 설정이 유지되었다.Amazon Q 플러그인 링크: https://pl..

개요도파민에 대한 이야기, 쇼츠를 멀리하라는 이야기에 대해 보완의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되는 유튜브를 가져와 정리해본다. 니르 이얄(Nir Eyal)의 책인 초집중은 리뷰를 보니 읽을 필요까진 없어보이며, 다음 유튜브 내용을 충분히 음미하고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면 되겠다.유튜브 링크: https://youtu.be/ppm5iCN5mII?si=YCjY-QTPfi6qxH1b내용 정리딴짓기존의 주장은 단순화하며 말하면 다음과 같다.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들과 같은 녀석들 때문에 도파민에 중독되어 해야할 일을 못하고 딴짓을 한다.그러니 이 놈들을 멀리하는 방법을 찾자.이 영상의 보완점은 다음과 같다.왜 해야할 일 대신을 하지 않고 딴짓을 하려는 건지 그 동기를 곰곰히 생각해봐야 한다. 원..

개요 코딩을 하다가 구조체 인스턴스를 전체의 필드를 모두 초기값으로 생성 후 값을 넣으면 편한 경우가 있다. IntelliJ에서는 해당 상황에서 Context Actions 중 그 기능을 제공한다. TL;DR IntelliJ 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있었으면 싶은 기능이 있다면 일단 Opt+Enter(Show Context Actions)를 쳐보자. 이미 IntelliJ가 지원하는 기능일 지 모른다. 예시 예시는 Golang 이다. 다음과 같이 구조체 인스턴스를 타이핑한다. 그리고 (MacOS 기준) Opt+Enter를 치면 Context Actions가 나온다. 이는 우클릭을 하고 나오는 Context menu에서도 보이는 “Show Context Actions” 를 실행한 것과 같다. 결과로 다음과 같이..

개요 막연히 연동을 눈치채고 있었는데 이참에 GitHub 의 외부 링크 연동기능을 알아본다. GitHub 문서 링크: https://bit.ly/4470tGd 참고 블로그 링크: https://devs0n.tistory.com/139?utm_source=oneoneone 쉽게 말해서 GitHub의 autolink 기능은 특정 키워드를 자동으로 외부 링크로 변환해준다. 사용자는 리포지토리 설정에서 키워드와 매칭되는 URL 패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때 :id 와일드카드를 활용해 동적인 URL을 생성한다. 이 기능을 통해 커밋 메시지, 풀 리퀘스트, 이슈 등에서 외부 자원을 쉽게 참조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From GitHub(커밋 메시지, 풀 리퀘스트, 이슈) → To Resource 공짜는 아니다..

개요 MacOS 에서 자주쓰는 앱을 단축키를 이용하여 실행하고 싶어 알아보았다. 참고링크: https://blog.naver.com/hankboy/221500577607 Prerequisites 카라비너 앱을 설치해줘야 한다. 링크: https://karabiner-elements.pqrs.org/ 카라비너 앱 설정하기 설정 방법은 간단하다. 앱을 실행하고 Complex Modifications 메뉴를 선택한 다음, 새로이 추가하는 경우는 Add your own rule 을, 이미 작성한 내용을 변경하려면 Edit 를 선택하면 JSON 설정 창이 뜬다. 설정창에 원하는 설정을 복붙해주고 저장하면 끝이다. JSON 설정 참고 내가 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Ctrl+F1: 원노트 Ctrl+F2: 노션 Ctr..

개요 ex, e.g., 그리고 i.e.를 종종 접하면서 이들을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는지 명확하지 않았다. 이를 정리해본다. TL;DR ex) 는 표준 영어 표현은 아니다. 비공식적 문맥, 간략 메모 등에 쓰인다. 예시를 들 때에는 e.g.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가 아니라 앞의 문장으 좀 더 풀어서 쓸 때에는 i.e. 가 적절하다. 즉, 다시 말해서 의 의미이다. 내용 ex. "Example"의 약자. 이그잼플 이라 읽는다. “예를 들어” 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e.g. 와 같다. 일반적으로 문장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e.g."가 더 자주 사용된다. e.g. "Exempli gratia(에그잼플리 그라티아)"의 약자로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이지 또는 에그 라고 발음한다. "예를 들어"라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API
- OpenAI
- ChatGPT
- 티스토리챌린지
- 인텔리제이
- MCP
- Bug
- Echo
- backend
- solid
- github
- intellij
- notion
- websocket
- clean agile
- agile
- 독서
- 클린 애자일
- 잡학툰
- 영화
- gocore
- 독서후기
- bun
- postgres
- middleware
- Gin
- 오블완
- go
- golang
- strang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