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oto by Christopher Robin Ebbinghaus on Unsplash 이전 포스팅에서 websocket 전반을 둘러보며 처음 연결시의 handshake를 정리했었는데 이 부분의 코드가 gorilla/websocket 패키지에서는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자 이전 포스팅: https://jusths.tistory.com/249 GitHub(gorilla/websocket): https://github.com/gorilla/websocket GitHub(gorilla/websocket echo example): https://github.com/gorilla/websocket/tree/master/examples/echo Websocket connection을 위한 handshake..

Photo by Alex Motoc on Unsplash HTTPS server를 운영할 때에 보안과 관련한 설정에 있어서 TLS version과 Cipher suite에 대해 정리해본다. 지나치게 깊이 들어가지는 않으면서도 전체적인 개념이해가 되는 방향으로 하였다. 큰 개념의 이해후에 각자가 필요한 만큼 좀더 파고들어갈 수 있겠다. 거친 개념정리 - HTTPS로 일단 연결이 되면 중간에 내용을 가로챈다 하여도 안전하다. 이 보안을 담당하는 녀석이 TLS이다. - 현재 시점(2021-09-27) TLSv1.3을 권장하며, 최소 TLSv1.2 이상을 사용하자. (다만 TLSv1.3은 모니터링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HTTPS로 보안연결을 하는 작업이 TLS handshake이며 server와 cli..

- Total
- Today
- Yesterday
- notion
- solid
- websocket
- Echo
- bun
- agile
- middleware
- OpenAI
- strange
- Bug
- ChatGPT
- Gin
- postgres
- go
- 잡학툰
- 티스토리챌린지
- 2023
- API
- 클린 애자일
- 독서후기
- golang
- clean agile
- 엉클 밥
- 인텔리제이
- 클린 아키텍처
- 영화
- 오블완
- intellij
- 독서
- gocor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