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링크: http://aladin.kr/p/12MOR 개요 아마존에서 12년을 일하신 박정준님의 아마존에 대한 이야기 2019년 4월 18일 - 4월 23일 독서 프롤로그 저자보다 잘난 사람 많은 아마존에서 열심히 노력하며 일해야 하는 이유를 고민하던 저자는 목표가 아닌 과정이라는 마음을 가지면서 극복할 수 있었다. (정현석. 약간의 정신 승리일 수도 있겠다.) 도제 → 저니맨 → 마스터로 가기위한 과정중 도제 기간으로서 아마존을 지내며, 궁극적으로는 지금, 나 밖에 할 수 없는 일을 좇아야 한다고 결론을 낸다. 도제인 저자에게 아마존이 가르쳐 준건 세세한 기술이나 경험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생명력 있는, 비옥한 삶을 위한 아마존의 원리와 방식이다. * 아래 각 장의 이름은, 저자의 표현과 책 내용을 참고..
개요 갤럭시 S8 을 실사용기로 2년 가까이 사용하다가, 바로 어제 갤럭시 S10e 로 넘어옴 딱 하루 사용한 셈이지만, 오히려 익숙해지기 전의 이 감상이 두 기기의 차이를 명확히 드러낼 수 있겠다. - 한 달뒤에 또 쓸만한 거리가 있으면 추가해보려 함 왜 S10e 를 선택하였는가? 더 나은 성능의 G8 로 선택약정을 하는가, 공시지원금이 커서 현재로서는 최고의 가성비인 S10e 를 고르는가 갈등을 하다가 아래 사항에서 S10e 를 선택함 1) 데이터 옮기기 - 삼성폰 → 삼성폰으로 데이터 옮기기가 쉬운 점 - 몇 달 전 가족분들의 스마트폰을 옮기면서 이미 느꼈었음 2) 퍼포먼스 - S8 에서도 성능상 아쉬움은 거의 없었기에 - 엑시노스 8천대 → 엑시노스 9천대의 성능향상 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 3)..
개요 google 에서 제공하는 Cloud NoSQL DB 인 Firestore 에 센서의 측정값을 올려보자. 목표 지금까지의 포스팅에서 센서의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부분까지 완료하였다. 이것을 Cloud 상의 NoSQL DB 인 Firestore 에 올려보겠다. 이후, 웹을 통하여 챠트로 표현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GitHub: https://github.com/nicewook/dustsensor_public 구현코드 링크: https://github.com/nicewook/dustsensor_public/blob/master/ds_v2_firestore.py 미세먼지 토이 프로젝트 - 센서 선정 및 라즈베리파이 연결: https://jusths.tistory.com/103 ..
개요 제프 베조스의 아마존을 관통하는 철학을 요약해본다. (2019-04-22 시점) 참고링크 1. 1997년 주주들에게 보낸 편지: http://sttora2.net/30175564371 2. 제프 베조스의 빅 아이디어 유튜브 링크: https://youtu.be/l9X8X-Ixbo8 구조론 링크1: http://gujoron.com/xe/999472 구조론 링크2: http://gujoron.com/xe/999601 1997년의 제프 베조스 1997년 주주들에게 보낸 편지: http://sttora2.net/30175564371 성공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 매출, 영업이익 같은 현재의 수치가 아닌 미래 잠재력을 의미하는 시가총액, 미래 가치로 측정하겠다. - 미래 가치는 시장 지배력이라 말할 수..
개요 미세먼지의 실제 기준 단위인 ug/m3 와 aqi 를 계산해본다. 기본 테스트 버전인 ds_test1.py 에서 간략한 수정 및 계산식을 추가하여 구현한다. 프로젝트 포스팅 링크 미세먼지 토이 프로젝트 - 센서 선정 및 라즈베리파이 연결: https://jusths.tistory.com/103 미세먼지 토이 프로젝트 - 센서 원리와 측정단위 변환법: https://jusths.tistory.com/105 - 자세한 계산식에 대한 이해는 여기를 참고 미세먼지 토이 프로젝트 - 기본 테스트: https://jusths.tistory.com/109 - 여기서 구현한 ds_test1.py 코드를 베이스로 수정하였음: https://github.com/nicewook/dustsensor_public/blob..
개요 1) 기본적인 센서 측정 동작을 둘러보고, 개념을 이해한다. 2) interrupt 를 제대로 작동하는지, 놓치는 경우는 없는지 확인한다. 참고사항 - 이전 포스팅들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겠지만 참고할 부분들을 적어본다. 참고1. 센서와 라즈베리파이 연결 PPD42NS 센서 라즈베리파이 3B 1번 (GND) 아래그림 6번 GND 3번 (5V) 아래그램 2번 또는 4번 5V 2번 (Output PM25) 아래그림 3번 GPIO 2 4번 (Output PM10) 아래그림 7번 GPIO 4 참고2. Base code (GitHub) - 링크: https://github.com/mauricecyril/pidustsensor/blob/master/pidustsensor.py 참고3. pigpio 실행시키기 $..
개요 실제 프로젝트의 일부를 떼어와서 구현중인데, 이때 local의 모듈들을 import 해서 사용하려 한다. 하나씩 순서대로 해보며 정리하겠다. * 실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는지라 포스팅에서는 이름을 바꾸어서 정리함. 단계1. 구조 잡기 - 실제로 구현을 하려는 녀석는 mymodule 모듈이다. - 각각 폴더마다 다른 모듈들이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 하나의 패키지는 하나 이상의 Go source file 로 이루어져 있다. +---common | +---constants | +---types | +---message | +---queue +---log +---mymodule 왼쪽과 같은 폴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명은 아래와 같다. (폴더 명과 같도록 ..
개요 1) Go Modules Wiki 의 일부를 세세히 들여다보자 2) Local Module 이라는 표현이 적절한지는 모르겠으나 Go Modules 기능을 통해 Local Path 에 있는 Module 들을 import 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보자 참고링크 - Golang Wiki: https://github.com/golang/go/wiki/Modules - stackoverflow1: http://bit.ly/2VyG3Sr - http://bit.ly/2VB69Er (참고) Package 와 Module Module 이 더 큰 개념이다. 관련이 있는 Go Package 들을 모아서 하나의 유닛처럼 버저닝 해주는 것이다. 사용된 각각의 Package 들의 정확한 버전정보들을 기록해 두기에 depe..
개요 반식 및 간헐적 단식 - 최종 8주차 정리를 해봅니다. 결혼 이후엔, 운동도 힘들어지고, 먹는 것을 절제하지 않아 몸무게가 인생 최고점을 찍었다. 운동은 하루 만 보 걷기와, 직장 계단 2번 오르기 (= 총 40 층) 를 시도해보고 있는데 이 정도로 체중관리는 한계가 있다. 이에 식이요법으로 반식 다이어트, 그리고 간헐적 단식을 시도해보게 되었다. - 계기가 된 후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2944105 - 책 링크: http://aladin.kr/p/hhaG 책은 별로였지만, 체중조절에는 먹는 것이 운동보다 중요하다는 것은 공감 하며, 확실한 효과가 있다는 것과, 나 자신이 먹는 부분에서 개선점이 많기에 시도해보기로 하였다. 목표 목표1. ..
개요 1) Shinyei PPD42NS 센서에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2) 측정값을 미세먼지 측정단위로 계산, 변환하는 법을 정리해 본다. Shinyei PPD42NS 센서의 동작 원리 1) 센서는 미세먼지가 지나가면 GPIO 를 High → Low 로 만들어준다. - LPO time: Low Pulse Occupancy time 2) 센서는 두 개의 GPIO Output이 있는데 하나는 PM10, 다른 하나는 PM25 이다. - 각각 미세먼지의 지름이 1.0 micron, 2.5 micron 이라는 말이다. (micron = um = 1/1000 mm) 두 수치를 동시에 계측했다면 지름이 작은 먼지의 개수는 계측 값에서 큰 먼지의 개수를 빼는 것이 맞을 수 있겠다. 큰 먼지 개수까지 중복..

- Total
- Today
- Yesterday
- go
- 독서후기
- 클린 애자일
- bun
- clean agile
- golang
- Bug
- strange
- OpenAI
- intellij
- 독서
- 2024년
- 티스토리챌린지
- 클린 아키텍처
- 2023
- 영화
- Gin
- API
- solid
- notion
- folklore
- 엉클 밥
- 인텔리제이
- 오블완
- agile
- 노션
- 잡학툰
- ChatGPT
- postgres
- websocke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