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의 Charset 설정 데이터베이스의 Charset 설정은 데이터베이스가 문자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고, 인코딩하며,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Charset은 특정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숫자 값으로 매핑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 다양한 언어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관여하므로 중요한 설정이다. 중요 개념 Charset: 문자를 숫자로 매핑하는 규칙의 집합. 예) UTF-8, ISO-8859-1, ASCII 등 Collation: 문자열의 비교와 정렬을 결정하는 규칙이다. Charset에 따라 여러 Collation이 있을 수 있으며, 대소문자 구분, 악센트 구분(예를 들어, 'e'와 'é’) 등을 다룬다. Chatset 설정이 중요한 이유 호환성: 데이터..

개요 대표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들인 MySQL과 PostgreSQL 대하여 속도는 MySQL, 다양한 기능은 PostgreSQL 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기존에 막연히 들었던 풍문으로는 PostgreSQL이 더 좋지 않겠나 생각했던 수준이어서 이참에 좀 더 알아보고 정리해둔다. TL;DR - 무엇을 쓸 것인가? MySQL 속도와 안정성이 중요하고, 쿼리가 간단하고, 표준에 엄격하지 않은 경우에 좋다. 웹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관리 시스템, 임베디드 시스템 등의 일반적인 사용에 적합하다. PostgreSQL: 동시성과 확장성이 중요하고, 쿼리가 복잡하고, 표준에 준수하는 경우에 좋다. 공간 데이터베이스,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데이터 웨어하우스 등의 고급 사용 사례에 적합하다. 주요 특징 비교 속도 MyS..

개요 외부 스터디를 하다 MHA를 알게되었다. 이에 간단히 정리를 해둔다. 참고링크와 ChatGPT에 기반하여 정리하여 본다. 참고 링크: https://hoing.io/archives/9175 MHA MHA(Master High Availability)는 MySQL 데이터베이스의 고가용성을 위해 설계된 솔루션이다. 현 Facebook의 Yoshinori Matsunobu가 개발였으며, GPL v2 라이센스 기반 오픈소스이다. MHA의 주 목적은 MySQL 서버의 마스터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슬레이브 서버를 새로운 마스터로 승격시켜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지속적인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MHA 주요 특징 자동 장애 복구: 마스터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슬레이브..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AI
- 영화
- solid
- notion
- 2023
- strange
- bun
- Bug
- Gin
- 티스토리챌린지
- API
- 인텔리제이
- agile
- middleware
- 클린 아키텍처
- clean agile
- 클린 애자일
- 엉클 밥
- Echo
- postgres
- websocket
- 독서
- 잡학툰
- intellij
- go
- 독서후기
- ChatGPT
- gocore
- golang
- 오블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